디지털평등연구센터
디지털평등연구센터
장애인을 위한 표준기반 전자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선에 대한 연구
『한국연구재단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』 2010.09~2015.08
-
- DAISY 3의 전자책 콘텐츠 구성요소(OPF, XML, NCX, SMIL 파일)를 분석
- 각 파일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DAISY 3를 지원하는 재생 툴을 구현
- 유효성 검사를 통해 각 파일간의 관계를 생성했고, 이 관계를 통해 음성으로 읽어주는 오디오 파일과 텍스트 부분과의 네비게이션이 가능하도록 함
- 화면의 제약을 가진 모바일 환경에서 도서의 정보 제공을 위해 서지정보, 목차, 본문에 대한 출력 방법을 제안
-
- 음성 어노테이션 인터페이스 및 부가정보 기록(입력, 분석) 모듈과 부가정보 재생 모듈을 설계
- 부가정보 기록 모듈에서는 사용자가 어노테이션을 발생한 시점을 포함하는 문장의 재생시간, 단어 수를 파악하여 정확한 위치 선정하여 음성 어노테이션 기록 위치 및 문장을 결정
- 부가정보 재생 모듈은 어노테이션 XML파일의 키워드 및 추천어 검색 기능, TTS엔진과 연계하여 음성 출력
- 한글 육성 음성도서 ‘위대한 개츠비’로 입력된 부가정보의 위치 정확도와 검색의 정확도를 측정하였고, 사용자 3명 당 5개씩 모두 원하는 위치에 입력되었음 확인, 사용자의 50개 부가정보 검색 성공을 확인
- 음성 어노테이션 인터페이스 및 부가정보 기록(입력, 분석) 모듈과 부가정보 재생 모듈을 설계
-
- 수식 표현의 체계적 분류를 위해 중학교 수학 교과서를 바탕으로 수식 표현의 체계적 분석을 통해 수학기호 총 44개에 해당하는 독음 규칙을 정의하고 표준화
- 수식의 한글 독음 변환 프로그램 구현
- 수식입력, 수식의 파싱, 한글독음 매핑, 한글 음절 시퀀스 생성 및 SSML 파일 생성의 단계로 이루어짐
- 입력된 수식의 한글 음절 시퀀스에 음성 합성이 가능한 SSML을 적용함
- 장애인 전자책의 수식 콘텐츠 독음을 위해 Presentation MathML의 Content MathML 자동 변환함
- Presentation MathML의 <math> 노드를 찾아 연산자 노드, 피연산자 노드를 해당하는 Content MathML 노드로 변환함
- Presentation MathML의 Content MathML 변환 구현 및 적합성 평가
-
독서장애 유형별 멀티모달 인터페이스 개선을 통한 전자책 접근성 향상 연구
『한국연구재단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』 2015.11~2018.10
-
독서 장애인들을 위한 전자책 인터페이스의 필수 필요 항목 도출 및 장애 유형 확대
- 사용자 조사 및 전문가 FGI 인터뷰를 통한 전자책 뷰어의 필수 필요 항목 조사 및 요구사항 수렴
- 데이지 독서보조기기 사용 환경에 대한 장애 유형 재 그룹핑 및 전문가 집단 인터뷰를 통한 타당성 확보
- 장애 유형은 {시각장애, 상지장애, 노안}으로 확대
- 사용자 접근 기능은 {시지각 능력, 손조작 능력}으로 구분
-
독서장애인을 위한 전자책 콘텐츠 접근성 연구
- 전자책 콘텐츠 접근성 표준 규격, 접근성 라이브러리, 접근성 관련 가이드라인 분석 및 접근성 기능 도출
- EPUB 항목 10개, XHTML 항목 20개, CSS 항목 11개, SVG 항목 2개, SMIL 항목 2개 총 45개 기능 도출
- 전자책 콘텐츠 접근성 45개 항목 기능 검사를 위한 EPUB, XHTML, CSS, SVG 기능 검사용 Java 모듈 개발
- 파일 파싱, 접근성 검사를 수행하는 Checker와 검사 결과(오류 발생 위치 및 설명) 출력 기능으로 구성
- 전자책 저작도구와 연계한 전자책 접근성 자가진단을 위한 인터페이스 개발
- 파일별 전자책 접근성 검사를 위한 에디터와 접근성 검사 모듈간의 인터페이스 구현
- 국내 EPUB 저작도구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SIGIL과 연계하여 라이브러리 기능 점검 인터페이스 개발
-
-
독서 장애 상황 및 유형에 따른 수준별 수식 독음 규칙 및 재생 프로그램 구현
- MathPlayer의 독음 스타일을 재구성하여 독음 단계 설정 후 수준별 구분 적절성 실험 후 독음 규칙 정의
- MathML로 만들어진 수식 콘텐츠를 XSLT에 적용하여 한글 독음 텍스트 추출 구현 및 이해도와 선호도 검사
웹 문서에서 제공하는 표 독음 프로그램 연구
- 장애인용 전자 도서에서 표 콘텐츠 독음 방법, 웹 콘텐츠 접근성 표준 규격 분석 및 접근성 기능 확인
- 한국점자도서관 음성 도서 제작에서의 표 콘텐츠 녹음 방법, 국립장애인도서관 전자점자자료 제작지침, DIAGRAM, Instruction
Manual for Braille Transcribing, HTML5&Epub3의 “Table”표기 기준 분석
- 한국점자도서관 음성 도서 제작에서의 표 콘텐츠 녹음 방법, 국립장애인도서관 전자점자자료 제작지침, DIAGRAM, Instruction
- 유형에 따른 표 표기 방법, 표 독음 방법 등 표 콘텐츠 적합성 검사 기준 확인